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는 연일 방문객이 끊이지 않고 있지만 정부가 지난달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상한을 6억원으로 제한하는 등 가계부채 대책을 발표하면서 서울 아파트 최고가 거래량이 대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14일 부동산정보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서울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6·27 가계부채 대책 발표 후 2주간 최고가 거래량은 발표 전 2주(6월13일~26일) 대비 7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강남권에서 시작된 집값 상승세가 마포·용산·성동구 등으로 빠르게 확산됐고 이 과정에서 투자 수요 및 실수요자들의 매수세가 급격히 몰렸다. 이에 대책 발표 전 2주 동안 총 4693건의 거래 중 1141건이 최고가 거래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거래량의 24.3%에 해당한다.그러나 정부의 대책 발표 이후 시장이 빠르게 냉각되면서 거래량 및 최고가 거래 또한 크게 감소했다. 대책 발표 이후 2주 간의 거래량은 1312건, 최고가 거래량은 300건으로 집계됐다. 최고가 거래량은 대책 발표 전 대비 74%가량 줄었고 최고가 거래량 비중 또한 22.9%로 1.4%p 감소했다.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대책 발표 전 2주간 최고가 거래량이 139건으로 가장 많았던 성동구는 이후 22건으로 84% 줄었고, 마포구는 대책 발표 이후 최고가 거래량이 18건으로 이전 대비 87%가량 감소했다.강동구도 6월27일 이후 최고가 거래량이 23건으로 80%, 강남구는 41건으로 63% 각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동작구(85건→15건), 영등포구(82건→18건), 광진구(50건→16건), 강서구(34건→16건), 동대문구(30건→4건) 등도 최고가 거래량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직방 관계자는 “규제 발표 후 2주가 지난 시점에서 아직 거래량만으로 시장 흐름을 단정 짓기에는 이르지만, 서울·수도권 주택시장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짙은 관망세에 접어든 모습”이라며 “대출 가능 여부에 따른 자금 계획 수립 등으로 혼란스러웠던 초기 국면은 다소 진정됐지만, 강도 높은 규제의 여파로 기존 매물의 호가가 일부 조정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으며 매수 문의 자체가 줄어들며 거래는 사실상 멈춰선 상태”라고 설명했다.그러면서 “규제 강도가 높아진 서울 강남권이나 정비사업 중심지에서의 수요가 상대적으로 덜 규제된 지역으로 일부 분산될 가능성도 제기된다”며 “자금 여력에 맞춰 비교적 낮은 가격대를 찾아 나서는 수요자들 중심으로 서울 외곽의 비규제 지역이나 경기권 일부 지역이 일시적인 대체지로 주목받을 수 있어 이들 지역에 대한 추가적인 시장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용인푸르지오